본문 바로가기

elastic search2

Elastic Search 사용해서 처리속도 개선하기 Elastic Search를 사용해서 API 처리속도 개선기 스프링 기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처리속도 개선을 하던 중에 Elastic Search를 이용하게 되었다. 해당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새로 배운 점이 많아서 이 과정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Elastic Search를 적용하려는 부분 이 프로젝트에서는 유저가 구독한 정보를 바탕으로 Telegram 알림을 보내는 알림 API가 있었다. 알림 API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RDB에서 TelegramId 값이 null이 아닌 유저를 기준으로 유저 테이블과 구독 테이블을 조인해서 TelegramId 값이 있는 유저 구독 정보를 가져온다. (2) 각각의 유저가 구독한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 알림줘야 하는 컨텐츠(유투브,채용, 뉴스)를 컨텐츠 테이.. 2023. 3. 30.
검색 API에 인덱스, Elastic Search 적용하기 검색 API 성능 개선하기 검색 API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이번에 스프링 기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검색 API 성능 개선을 시도했는데 이 과정에서 Index 추가 더 나아가 Elastic Search 도입을 해보았다. 이 과정에 많은 고민과 시행착오를 겪었고 이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검색 API가 활용되는 프론트엔드 화면 아래는 검색 API가 활용되는 프론트엔드 화면이다.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검색어를 검색하면 검색어에 해당하는 크롤링 컨텐츠가 나오는 기능이다 검색 API를 개선을 하려는 이유 이 프로젝트의 검색 API는 크롤링 컨텐츠를 기반으로 검색이 이루어진다. 크롤링 컨텐츠들이 있고 검색어가 입력되면 그 크롤링 컨텐츠들의 제목 기반으로 매칭해서 검색 컨텐츠를 제공하는.. 2023.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