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XX게임에는 피로도 시스템(0 이상의 정수로 표현합니다)이 있으며, 일정 피로도를 사용해서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각 던전마다 탐험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필요 피로도"와 던전 탐험을 마쳤을 때 소모되는 "소모 피로도"가 있습니다. "최소 필요 피로도"는 해당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 가지고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피로도를 나타내며, "소모 피로도"는 던전을 탐험한 후 소모되는 피로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최소 필요 피로도"가 80, "소모 피로도"가 20인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서는 유저의 현재 남은 피로도는 80 이상 이어야 하며, 던전을 탐험한 후에는 피로도 20이 소모됩니다.
이 게임에는 하루에 한 번씩 탐험할 수 있는 던전이 여러개 있는데, 한 유저가 오늘 이 던전들을 최대한 많이 탐험하려 합니다. 유저의 현재 피로도 k와 각 던전별 "최소 필요 피로도", "소모 피로도"가 담긴 2차원 배열 dungeons 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유저가 탐험할수 있는 최대 던전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풀이
dugeons배열을 중복체크를 하면서 재귀함수를 이용해서 완전탐색 해야하는 문제라고 생각했다.
def solution(k, dungeons):
answer = -1
results=[]
arr=[0]*len(dungeons)
check=[False]*len(dungeons)
def dfs(depth):
if depth==len(dungeons):
result=[]
for i in range(len(arr)):
result.append(dungeons[arr[i]])
results.append(result)
return
else:
for i in range(len(dungeons)):
if check[i]==False:
check[i]=True
arr[depth]=i
dfs(depth+1)
check[i]=False
dfs(0)
for result in results:
num=0
if k>=result[0][0]:
start=k-result[0][1]
num+=1
for idx in range(1,len(result)):
if start>=result[idx][0]:
start-=result[idx][1]
num+=1
else:
break
if num>answer:
answer=num
return answer
전체코드는 다음과 같다.
results라는 배열을 하나 두고 여기서 완전탐색해서 탐색할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다 넣는다.
그 다음 이 results라는 배열을 하나씩 탐색하면서 최대 던전 수를 찾아가는 방식으로 구현했다.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7946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9742번 - 순열 (파이썬) (0) | 2023.01.30 |
---|---|
프로그래머스 - 소수 찾기(완전 탐색) (0) | 2023.01.15 |
프로그래머스 - 모음사전(완전탐색)(파이썬) (0) | 2023.01.14 |
동적 계획법과 Knapsack 문제 (1) | 2022.12.29 |
LIS(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 알고리즘 (0) | 2022.12.28 |